로고

보도자료

제목

[이슈브리핑] 전북을 K-실감산수 콘텐츠 거점으로 만들자
  • 2024-06-05
  • 조회 330

본문 내용

전북을 K-실감산수 콘텐츠 거점으로 만들자

 

○ 인구감소 대응, ‘장소 기반 K-실감산수 콘텐츠’거점화 필요

○ 문화유산+자연경관+스토리+실감기술 융합, 3대 프로젝트 제안

 

○ 인구감소 위기 대응과 K-문화산업 거점이 되기 위해 전북 곳곳에 있는 자연경관(Landscape)과 문화유산(Heritage)에 실감미디어 기술을 접목한 이른바 ‘장소 기반 K-실감산수 콘텐츠’를 개발해 관광상품화해야 한다는 정책제안이 나왔다. 

○ 전북이 품은 자연·문화유산 장소와 생태적 경관 장소, 역사적 사건 장소, 상징적 공간·시설 장소를 활용해 실감산수 콘텐츠를 만들고, 시군 유사 출연기관이나 민관협력 사업단을 구성해 상설 운영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전북연구원(원장 이남호)은 이슈브리핑을 통해 그간 다양한 실감콘텐츠가 개발되었고 우수한 콘텐츠도 많았지만, 용역공모방식으로 인해 매번 새로운 민간업체가 선정되는 바람에 콘텐츠 업그레이드에 한계를 보여왔으며, 지자체별 단타성 용역사업이 행사가 끝나면 실감 콘텐츠를 상설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드러냈다면서 이 같은 대안을 제시했다. 

○ 장세길 책임연구위원은 이날“실감콘텐츠는 장비만 있으면 장소를 가리지 않아 전북에서 개발된 게임인데도 굳이 전북에 오지 않아도 체험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어 지역의 체감 관광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라면서 “우리 지역의 독특한 장소 자산에 실감미디어 기술을 입히고 이를 특별하게 육성 관리하는 시스템이 구축되면 경쟁력 있는 K-콘텐츠를 만들 수 있고, 사람을 불러 모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 ‘K-실감산수’는 2004년 중국 계림에서 첫선을 보인 이른바 <인상시리즈> 실경산수 상설공연을 차용한 개념이다. 사람이 대규모로 동원되는 중국 공연 방식이 아니라, 자연·문화유산 등 실경에 첨단기술을 적용한 실감콘텐츠와 최소화된 실제 공연을 접목하는 공연을 말한다.  

○ 장세길 박사는 전북이 한국 문화유산의 대표 지역인만큼 K-실감산수 콘텐츠의 경쟁력이 높다면서 전북을 헤리티지·경관과 첨단기술 융합의 K-실감산수 콘텐츠 거점으로 육성시키는 3대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 첫 번째 프로젝트는 ‘실감 아일랜드 선유(仙遊)’다. 고군산군도에서 추진되는 해양레저체험 복합단지 조성사업과 연계하여 첨단기술(AR 모노레일, 인터랙티브 슈퍼트리, 초대형 미디어월)을 접목한 해양유산 관광콘텐츠를 적용함으로써 K-실감산수 앵커로 개발하자는 것이다. 

○ 전주한옥마을을 ‘K-Culture LIVE PARK’로 만들자는 게 두 번째 프로젝트이다. 한국의 역사·문화자원·경관, 창의적 활동, 한국문화 체험관광객이 집결된 전주한옥마을을 K-실감산수 콘텐츠의 테스트베드이자 국제 관광지로 개발하자는 제안이다. 

○ 장세길 박사는 이어 14개 시군의 공동 프로젝트로 ‘K-유산풍경(HeritaScape) 미디어아트’를 제안하였다. 전북 내 세계유산과 시군 대표 유산, 지역의 독특한 경관과 스토리를 연계하여 K-실감산수 콘텐츠를 개발하고 상설 공연을 추진하자는 게 주요 내용이다. 

○ 장세길 박사는 “다양한 제안이 빛을 보려면 신속한 지원체계가 갖춰져야 한다”라면서 “K-실감산수 콘텐츠 거점화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국책사업화로 연결하는 합심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또 “상설 공연을 위한 ‘K-실감산수콘텐츠사업단’의 구성, 실감 콘텐츠 제작에 대한 문화유산 관련 규제를 해소하는 제도 개선(특례 적용)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 구글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