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연구보고서
과제유형 설명
기본과제 전라북도 관련 연구 수행에 기본이 되는 DB구축, 모델개발, 종합실태조사 등 기초연구 성격의 연구 사업
기획과제 외부제안 또는 연구원 스스로 전북발전 방향을 기획하는 미래 지향적 성격의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도정 정책지원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연구원 자체개발 또는 전라북도 요청에 의해 수행하는 연구 사업
현안과제 전라북도 도정현안 대응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중 긴급한 대응이 요구되는 과제로 단기에 수행하는 정책연구 사업
TFT 정부 정책 및 도정 주요 현안 대응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수탁(협약) 사업 중앙부처,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인삼산업 육성정책 기본방안
  • 부서명
  • 산업경제연구부
  • 발행일
  • 2022
  • 연구책임
  • 서환석
  • 연구진
  • 장성혁
목차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연구의 구성체계
4. 연구의 추진체계 및 일정
제2장 인삼산업 개념 및 사례분석
1. 인삼산업의 개념 및 삼(蔘)의 종류
2. 선행연구 검토
3. 주요 인삼 주산지 사례조사
제3장 전라북도 인삼산업 현황분석
1. 인삼산업 정책동향
2. 인삼산업 현황분석
3. 전라북도 인삼산업의 특화도 분석
4. 전라북도 인삼산업 SWOT 분석
5. 환경변화와 과제
제4장 인삼산업 육성정책 우선순위 AHP분석
1. 계층분석방법(AHP)의 개요 및 평가항목
2. 의사결정 계층구조의 도출
3. 분석결과
제5장 기본구상
1. 기본방안 및 목표설정
2. 단계별 추진전략
제6장 전라북도 인삼산업의 추진전략
1. 지속가능한 생산기반 및 유통체계 구축
2. 기술혁신을 통한 인삼가공산업 육성
3. 소비 활성화를 위한 치유관광 및 체험교육
4. 신뢰할 수 있는 인력육성 및 거버넌스
제7장 결론 및 추후과제
1. 요약 및 추후과제
참 고 문 헌
부 록
닫기
PDF DOWNLOAD
주요내용

● 연구의 배경

○ 국내 인삼의 생산은 재배면적의 감소와 농가의 고령화, 농업인력의 감소, 경영비 상승으로 인해 생산 여건이 어려워지고 있음

○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기상이변은 인삼의 생육환경을 어렵게 하여 저조한 수량 및 품질 저하뿐만 아니라 생산비가 크게 증가하여 인삼재배 농가의 소득 불안정을 지속시키고 있음

○ 농식품부는 2022년 '인삼산업 발전 종합대책'을 수립을 통하여 ① 생산기반 확충, ② 유통·가공 기능 활성화, ③ 소비 확대 및 수출 역량 강화, ④ 제도·기반 정비의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였음

○ 지역보다는 정부 주도의 인삼산업 정책은 구체적인 성과와 인삼산업 생태계 조성에는 한계를 보여 왔음

○ 전북의 인삼농가는 3,066호(20년 기준)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으며, 인삼 생산액은 22%로의 국내 인삼의 주산지임

○ 현재 전북의 인삼생산은 농업경영비의 지속적 증가와 재배면적의 감소, 기후변화로 인해 인삼의 생장에 타격을 받고 있음

○ 전북의 인삼생산량 중에 80%는 금산 도매시장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전북 도내에서 유통되는 수삼은 오히려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음

○ 이러한 여건하에서 전라북도 인삼산업 발전을 위해 중장기 정책과제 수립이 필요하며, 인삼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의 관점에서 생산구조 고도화, 상품화 및 산업화, 관광 및 체험교육, 인력육성 및 거버넌스 등 크게 4가지 분야로 구분하여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에 직면해 있는 전라북도 인삼산업의 발전과 고도화를 위하여 중장기적인 기본방향의 설정과 지역의 관점에서 인삼산업 육성을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이를 위해 우선, 인삼산업의 특성과 주요 환경변화, 정책동향, 생산여건 등의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인삼산업의 방향성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함

○ 둘째, 중장기 실천과제를 실현하는 핵심전략과 세부과제를 도출하고자 함

○ 셋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라북도 인삼산업 육성을 위한 핵심사업에 대하여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여 기본적인 육성방향을 4개 분야로 구성하고 핵심사업을 도출

○ 핵심사업 도출에 있어서 전문가의 정책 우선순위 설문조사를 통하여 4대 분야의 우선순위를 제시

 

● 연구관리 코드 : 22JU07 

조회수 3780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