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연구보고서
과제유형 설명
기본과제 전라북도 관련 연구 수행에 기본이 되는 DB구축, 모델개발, 종합실태조사 등 기초연구 성격의 연구 사업
기획과제 외부제안 또는 연구원 스스로 전북발전 방향을 기획하는 미래 지향적 성격의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도정 정책지원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연구원 자체개발 또는 전라북도 요청에 의해 수행하는 연구 사업
현안과제 전라북도 도정현안 대응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중 긴급한 대응이 요구되는 과제로 단기에 수행하는 정책연구 사업
TFT 정부 정책 및 도정 주요 현안 대응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수탁(협약) 사업 중앙부처,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정책과제 한(韓)문화 수도 위한 첫 번째 구상:K-Food 콤플렉스 조성 방안
  • 부서명
  • 문화관광연구부
  • 발행일
  • 2013
  • 연구책임
  • 장세길
  • 연구진
  • 장성화 김수은 김동영 변혜진
목차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제2장 K-Food 소비거점 조성의 필요성
1. 한식 세계화 정책 분석
2. 정부의 K-Food 공간 조성정책의 성과와 한계

제3장 K-Food 콤플렉스의 개념과 전주 조성의 적합성
1. K-Food 콤플렉스의 개념과 역할
2. K-Food 콤플렉스 대상지로서 전주의 적합성

제4장 K-Food 콤플렉스 조성 구상
1. 추진 방향
2. K-Food 콤플렉스 입지 선정
3. K-Food 콤플렉스의 기능설정과 도입시설

제5장 사업 실현을 위한 방안
1. 재원 조달 방안
2. 도시재생 시범사업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전략
3. 향후 계획
닫기
주요내용
❚ 연구목적

○ 정부는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를 한국문화(전통문화, 예술, 콘텐츠) 전반으로 확대하려는 신(新)한류정책을 추진 중이며, 새 정부에서도 유지될 전망

○ 한국문화 세계화전략으로 추진되던 한스타일 사업 폐지 대신, 한문화(K-culture)라는 이름으로 무형문화유산 중심의 전통문화산업 전략, 전통문화와 대중문화 결합한 한류3.0 전략이 새롭게 추진
- 한류 3.0: 전통문화, 문화예술,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세계인과 공감하는 한문화(K-Culture). 결과와 양태는 한국의 것(K-Stlye)을 지향 (문화체육관광부 포럼 발표자료 참조)

○ 전라북도는 K-Culture 중 전통한류 전반과 현대한류 및 한류의 산업화의 상당부문에서 타 지역과 차별화되는 경쟁력 확보
- 전통한류: 전통문양, 전통디자인, 전통공간, 한지, 한복, 국악, 문화마을 등
- 현대한류: 조형, 공연, 전통예술, 건축, 디자인, 문학, 출판, 공예, 축제 등
- 한류산업화: K-pop, 드라마, 영화, 게임, 패션, 방송, 문화상품, 관광 등

○ 전주 전통문화도시 조성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지역으로 발돋움했지만, 1단계 사업종료(2011) 이후 2단계 사업이 지지부진. 특히 한스타일사업이 폐지되면서 전북지역의 전통문화사업의 추진동력이 약화

○ 전북이 전통문화를 활용한 정책 및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새롭게 추진되는 정부의 K-Culture 전략에 적극적 대응 필요

○ 기존의 문화도시는 '문화유산의 보존과 유럽의 문화적 통합에 기여한 도시'라는 유럽의 문화도시를 차용한 것으로, 전주 전통문화도시도 궁극적으로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승이라는 것에 집중

○ 이에 반해 K-Culture 사업은 한국문화의 세계화 전략으로, 대중화‧산업화‧세계화를 통한 소비확산이 중요한 키워드. 즉, 정부의 정책방향에 조응하면서 동시에 전통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지속‧확대하기 위한 전략적 구상으로서 K-Culture 소비거점화 전략 필요

○ 전북을 K-Culture 수도이자 소비거점으로 만든다는 전제 아래, 전북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분야(예, 음식, 한지, 공예, 소리 등)를 중심으로 K-Culture 소비거점이 되기 위한 사업 구상 필요

❚ 연구내용

K-Food 국내 소비거점의 필요성 분석
○ 한스타일 정책부터 한식세계화 사업까지 K-Food와 관련한 정부정책 분석(성과와 한계)을 통해 새로운 K-Culture 전략에 부합하는 음식 관련 국내 거점 조성의 필요성 제시
- 특히 지나친 해외진출 위주의 세계화 전략의 한계를 짚어보고, 방한 외래 관광객의 실태조사를 토대로 국내 소비거점의 필요성 도출

○ 음식 관련 공간조성 정책(음식테마거리 관광활성화 사업, 우수 외식업지구 육성사업)의 문제점을 들여다보고, 연구‧개발, 유통/소비, 관광/체험이 집적화된 클러스터형 거점 조성의 필요성 제시

K-Food 콤플렉스의 개념과 역할
○ 허브 앤 스포크 방식의 문화산업클러스터 개념을 활용해 K-Food 콤플렉스의 기능과 역할 등을 정립

○ K-Food 콤플렉스의 조성대상지 선정요소에 대해 개념화하고, 이를 토대로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주요 내용을 제시
- K-Food의 상징성, 대표성, 발전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K-Food 소비거점으로서 전주의 적합성
○ 전주가 K-Food 소비거점으로서 콤플렉스를 조성하는 대상지로 적합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 특히 앞에서 서술한 K-Food 콤플렉스 조성대상지의 선정요소별 적합성 기술

○ 유네스코 음식창의도시로서의 상징성, 문화산업클러스터형 소비거점으로서 전주의 경쟁력, 대표성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

전주 K-Food 콤플렉스 조성 방안 제시
○ 전통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전통문화도시 조성사업의 2단계 전략으로서 한문화 수도 조성전략과 그 첫 번째 구상으로서 K-Food 콤플렉스 조성을 제안

○ K-Food 콤플렉스의 이용대상과 기능, 조성 대상지를 설정하고, 콤플렉스 내 구체적인 도입시설 및 프로그램 구상안을 제시

○ 향후 추진계획을 수립하되, 연계가능한 정부정책을 분석, 제시

○ K-Food 콤플렉스 이후의 추가 구상안 및 중장기적인 계획 제언


❚ 연구관리 코드 : 13JU33

조회수 14168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