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연구보고서
과제유형 설명
기본과제 전라북도 관련 연구 수행에 기본이 되는 DB구축, 모델개발, 종합실태조사 등 기초연구 성격의 연구 사업
기획과제 외부제안 또는 연구원 스스로 전북발전 방향을 기획하는 미래 지향적 성격의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도정 정책지원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연구원 자체개발 또는 전라북도 요청에 의해 수행하는 연구 사업
현안과제 전라북도 도정현안 대응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중 긴급한 대응이 요구되는 과제로 단기에 수행하는 정책연구 사업
TFT 정부 정책 및 도정 주요 현안 대응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수탁(협약) 사업 중앙부처,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 부서명
  • 농업농촌연구부
  • 발행일
  • 2012
  • 연구책임
  • 이민수
  • 연구진
  • 장현욱
목차보기
목차보기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 기대효과

II. 로컬푸드 개념 및 유형
1. 로컬푸드 개념
2. 로컬푸드 혜택
3. 로컬푸드 유형

III. 전라북도 농업현황 및 당면과제
1. 전라북도 농업 현황
2. 국내 농업·농촌의 핵심 문제
3. 전북 농업·농촌의 당면문제
4. 정책방향

IV. 소비자 조사 결과
1. 설문 조사 대상, 기간 및 방법
2. 조사자 특성 및 식품 소비성향
3.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자행동분석 결과
4. 소비자조사결과 요약 및 시사점

V. 전북 로컬푸드체계구축 기본계획
1. 전북로컬푸드정책의 기본 방향
2. 전북 로컬푸드 단계적 발전방향
3. 전라북도 로컬푸드 발전비전 및 전략
4. 전북로컬푸드 세부 추진전략
5. 로컬푸드사업 추진 전략
6. 주요 쟁점
닫기
PDF DOWNLOAD
주요내용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현재 전세계적으로 먹거리와 관련된 다중적인 위기(기후위기, 식량위기, 자원위기, 가축전염병위기 등)에 직면하여, '산업화된 현대 농식품체계(modern industrial food system)'을 사회적·경제적·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지역식품체계(sustainable local food system) 구축하는 것이 절실한 과제로 대두

○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현대사회의 식량체계는 거대 곡물메이저들로 하여금 세계 식량의 80%를 장악하도록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값싼 외국농산물의 유입과 WTO 규범에 따른 정부의 농업지원 축소 등으로 자국 내의 농업생산과 유통여건이 악화되고 있음(김철규, 2011; 윤병선 외, 2011; 홍경완 외, 2009).

○ 특히 세계화로 인한 식품생산 방법의 표준화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과 불신감을 갖게 하여 식품체계의 변화 요구로 연계되고 있음(김철규, 2011; 홍경완 외, 2009). 예를 들어 외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농산물의 경우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약품처리 등이 식품 자체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국민 건강에 위협을 가하고 있는 실정임. 따라서 농산품이 어디에서, 어떻게 생산되는지와 윤리적·환경적인 측면의 속성을 고려하는 등 안전한 식생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세계식량체계의 대안적인 모델로써 로컬 푸드의 개념이 생겨나게 됨(홍경완 외, 2009). 그러나 농산물의 생산 현장과 소비현장 사이의 물리적·사회적·심리적 거리 확대가 로컬푸드 소비에 있어서 어려운 점으로 논의되고 있음(김철규, 2011; 윤병선 외, 2011; 홍경완 외, 2009)

○ 이러한 로컬푸드는 90년대부터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논의가 확산되었으며, 민간영역에서 직거래 등의 활동으로 출발하여 현재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을 받는 새로운 지역식량체계로 자리잡고 있음. 또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요구와 지역농업에 대한 위기로 시작된 로컬푸드에 관한 논의는 단순히 개념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식량체계의 변화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생겨난 로컬푸드 시스템 또는 커뮤니티 푸드 시스템에 관한 연구라고 할 수 있음(홍경완 외, 2009).

○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글로벌 식품체계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지역식품체계 구축을 위한 활동, 즉 로컬푸드 운동이 1970년대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일어났으며, 현재는 공공영역차원에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적 노력이 활성화 되고 있음

  - 일본( 地産地消): 지역에서 생산하고 지역에서 소비한다
  - 유럽(short food chain): 생산자-소비자 직거래 + 이동거리감소로 탄소배출 감축
  - 미국(know your farmer, know your food): 어디서 누가 생산하는지 아는 얼굴있는 식품

○ 우리나라의 경우 농업 생산과 유통 여건의 악화 및 질 좋은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식량체계의 전환이 필요함을 인지하여 2000년대부터 로컬푸드라는 개념이 등장하였음. 이에 따라 국내 로컬푸드 사례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로컬푸드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는 부족한 실정임(김철규, 2011; 홍경완 외, 2009).

○ 전라북도의 경우도 FTA 등 글로벌 경쟁의 심화와 대형유통마트에 의한 지역농식품 유통의 장악으로 중소규모 농가 및 유통업체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

  - 글로벌 위기에 대응하여 중소농과 지역유통·소비 주체들이 협력하는 로컬푸드 체계를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지역농업구조를 확립할 필요가 있음
- 로컬푸드를 통해 생산자에게는 농산물 생산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비자에게는 먹거리에 대한 신뢰를 제공하여 생산자와 소비자가 소통 할 수 있는 ‘관계’를 확보

○ 본 연구의 목적은 민선5기 전라북도 ‘삶의 질 향상’ 핵심시책으로 제시된 전북형 로컬푸드에 대한 정책방향, 정책모델, 핵심과제, 추진체계를 제시하는 데 있음

  - 전북형 로컬푸드 중장기 로드맵 수립
  - 광역차원의 효과적인 성과도출을 위한 정책모델 제시
  - 현장에서 단기간에 성과가 가능한 핵심과제 제시
  - 광역 로컬푸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추진체계 제시


 연구관리 코드 : 12JU12


조회수 15549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