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슈브리핑
기본과제 귀농·귀촌 여성, 전북 정착을 위한 해법이 필요하다!
  • 부서명
  • 연구본부
  • 발행일
  • 연구책임
  • 연구진
  • 박신규, 조경욱, 조아영
목차보기
목차보기
1. 귀농·귀촌 여성의 전북 지역 정착 방안이 요구된다!
1) 귀농·귀촌인구의 전북 지역 증가 추세
2) 귀농·귀촌 지원 정책 현황과 한계

2. 귀농․귀촌여성의 생활경험 및 정책요구 사례조사
1) 정착경험
2) 교육참여와 활동경험
3) 정책수혜 경험과 요구분석
4) 정책적 시사점

3. 귀농·귀촌 여성의 지역정착을 위한 정책방향
1) 귀농·귀촌 지원정책의 단계별 지원 강화
2) 성인지적인 귀농· 귀촌정책 수립

4. 귀농·귀촌 여성의 지역정착을 위한 세부추진과제
1) 지역특성을 반영한 수도권 여성귀농학교개설
2) 전북 귀농귀촌 DB 구축에서의 성별통계 생산
3) 귀농·귀촌여성의 재능기부단 결성 및 지원
4) 귀농귀촌지원센터의 구인· 구직정보 수집 및 제공
5) 새일센터의 농촌형 시범사업 운영
6) 귀농·귀촌여성의 교육 돌봄서비스 협동조합 설립 및 지원
7) 다문화마을학당의 자원봉사자 인력 활용
닫기
PDF DOWNLOAD
115
주요내용

전북발전연구원(원장 김경섭) 여성정책연구소 여성가족정책팀 박신규 부연구위원은 이슈브리핑(통권 제115호)에서 최근 귀농·귀촌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귀농·귀촌 여성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귀농·귀촌 여성의 증가는 새로운 인적자원인 동시에 이들의 정착이 귀농·귀촌 가구의 안정적 정착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귀농․귀촌 여성의 정착율을 높이기 위한 해법을 제안하였다.

 

도시의 베이비붐 세대 은퇴와 장기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일자리 부족 그리고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등으로 귀농·귀촌 가구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전국 연도별 귀농·귀촌 가구는 2001년 880가구에서 2004년 1천 가구, 2009년 이후에는 4천 가구를 넘어섰고, 2011년에는 1만 가구 이상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라북도는 2001년~2012년 6월까지 누적 귀농·귀촌기구는 5,824가구로 경북(20.8%), 경남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중앙정부와 지자체들도 2009년부터 귀농․귀촌지원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귀농·귀촌인구를 늘리기 위해 귀농단계에서부터 다양한 지원사업과 프로그램을 통해 정착률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전라북도 역시 2017년까지 3만호 귀농·귀촌 유치 확대를 목표로 농촌활력화를 위해 단계별 귀농·귀촌인 유치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전북 지역의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은 귀농·귀촌 유치정책에 집중되어 있어 이미 들어와 있는 귀농·귀촌인들이 지역사회에 연착륙할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귀농·귀촌 가구의 정착실패 원인 중 ‘여성의 적응력 저하’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귀농·귀촌 여성들이 지역사회에 정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박신규 박사는 귀농·귀촌정책이 가구단위 중심의 유치와 지원정책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가구정착의 주요 요소인 여성을 지원하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성들이 귀농·귀촌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여성들의 역량과 재능을 농촌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력으로 배치하는 정책의 필요성과 귀농·귀촌 여성의 전북지역 정착을 위한 정책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첫째, 귀농·귀촌 지원정책의 단계별 지원을 강화하고 둘째, 남성가구주 중심의 정책에서 귀농·귀촌여성을 고려하는 성인지적인 귀농·귀촌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책방향 하에 주요 정책분야는 귀농·귀촌여성의 정착을 위한 지원 기반조성과 귀농·귀촌여성의 일자리 창출 및 연계로 분류하고, 그와 관련된 7개의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한편, ‘귀농·귀촌 여성 정착지원 기반조성’을 위한 정책분야의 세부과제로 ①지역특성을 반영한 수도권 여성귀농학교 개설, ②전북 귀농·귀촌 DB구축를 통한 성별통계 생산, ③귀농·귀촌 여성의 재능기부단 운영을, 그리고 ‘귀농·귀촌 여성의 일자리 창출 및 연계’를 위한 정책분야에서는 ④귀농귀촌지원센터의 구인·구직 정보수집 및 연계, ⑤새일센터의 농촌형 시범사업 운영, ⑥교육돌봄서비스 협동조합 설립 및 지원, ⑦다문화마을학당의 자원봉사자 인력활용을 세부과제로 제시하였다.

 


 

 

 

 

 

 

조회수 10902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