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슈브리핑
기본과제 전북의 상징문화공간, 전라감영복원사업과 연계필요하다 (2부)
  • 부서명
  • 연구본부
  • 발행일
  • 연구책임
  • 연구진
  • 김형오,이성재,양지인
목차보기
목차보기
1. 상징문화공간의 기본개념과 주요과제

2. 상징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전략 및 과제

3. 상징문화공간의 공간구상

4. 단계별 추진전략

5. 사업규모 및 소요재원

6. 마무리
닫기
PDF DOWNLOAD
31
주요내용
전북의 상징문화공간 전라감영복원사업과 연계필요하다 (2부)  

▮ 상징문화공간의 기본개념과 주요과제

○ 전북의 상징문화공간 조성을 위해 전라감영복원사업과 연계가 필요하다는 이슈브리핑 1부에 이어 2부에서는 상징문화공간 조성의 기본개념과 주요과제를 살펴보고, 단계별 추진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 한옥마을 일대의 전통문화공간, 테마거리 주변의 현대문화공간을 기능적으로 연계시키기는 전략으로 근대건축물인 구 전북도청사의 의회동의 활용방안을 검토

○ 활용방안으로 기능적 연계를 위해 풍남문(전통)~의회동(근대)~객사(현대)에 이르는 단순한 선적 형태로 구성된 감영1길에 면적인 문화공간 형태로 결합하는 방안을 검토

○ 이를 통해 객사(현대)에서 풍남문(전통)에 이르는 감영1길을 시각적·동선적으로 연계

▮ 상징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전략 및 과제

○ 첫째, 상징문화공간 거점 조성을 위한 천년광장 및 천년문화창작센터 조성

  - 지역차원의 공간구조와 지구(블록)차원의 용도 및 활용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라감영터를 상징 문화공간의 핵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문화인을 중심으로 사람이 모일 수 있는 매체 또는 자극이 필요하며, 이러한 사람들의 활동을 담을 수 있는 상징공간이 필요

○ 둘째, 전통·현대문화공간의 네트워크를 위한 상징문화예술창작거리와 소통의 거리 조성

  - 전통문화공간과 현대문화공간의 단절을 극복하기 위해 양 문화 블록 간의 경계와 단절을 허무는 공간적·문화적 기호가 필요한데, 한옥마을과 걷고싶은 거리 또는 영화의 거리가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선(線)적인 문화기호를 도입하여 양 블록간의 네트워크화가 요구

 

연구진 
김형오 · 전북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성재 · 전북발전연구원 연구위원
양지인 · 전북발전연구원 연구원


 

 

 


조회수 8950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