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슈브리핑
기본과제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지역경제 효과와 전망
  • 부서명
  • 연구본부
  • 발행일
  • 연구책임
  • 연구진
  • 김재구, 이국용 부연구위원
목차보기
목차보기
1. 세계적 규모의 그린에너지 종합 클러스터 탄생
1) 그린에너지 관련 산업 전망
2) 새만금지역 그린에너지 분야 대기업투자 계획
3) 왜 새만금인가?


2. 전라북도 지역경제 파급효과
1) 분석 체계
2) 파급효과 분석 결과


3. 향후 전망

4. 과제 및 대응방안
닫기
PDF DOWNLOAD
39
주요내용
○ 그린에너지 산업은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혁신적 에너지기술에 기반한 산업으로 세부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 화석연료 청정화, 효율향상 분야로 구분할 수 있음(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 전세계 에너지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이 현재 약 2%에서 2030년 6%로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BP Energy Outlook 2030). 최근 일본대지진 및 원전 사고 이후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그린에너지 산업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 가운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음

 

○ 최근 국내 S사는 2021년부터 2040년까지 총 3단계에 걸쳐 전체 면적 11.5㎢의 규모로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계획을 제시하였음. 구체적으로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는 먼저 풍력발전 및 태양전지 부문으로 시작해서 향후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과 연료전지 부문으로 확장되는 그린에너지 종합 산업단지로 계획되어 있음

 

○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의 주요 입지결정 요인으로는 해당 분야의 최대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과의 접근성 및 대규모 부지확보의 용이성, 그리고 새만금 1단계 사업(2011년 - 2020년)이 완료 이후 그린에너지 산업발전을 위한 각종 인프라가 구축에 관한 기대감 때문이라 볼 수 있음

 

○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단기효과와 장기효과로 구분할 수 있음. 단기효과는 산업단지 건설 및 설비투자에 따른 파급효과로 산업단지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효과라 할 수 있으며, 장기효과는 지역내 산업생산과 소비지출 증가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로 산업단지 건설이후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효과라 할 수 있음

 

 ○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조성이 전라북도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서 생산유발효과는 단기효과로 2021~2025년까지 약 9조원, 장기효과로 2026년 이후에는 매년 약 15조 2천억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단기효과가 약 3조 2천억원, 장기효과로 매년 약 4조 5천억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유발효과는 단기효과가 약 18,600명, 장기효과로 약 85,732명로 나타남

○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향후 전망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로 제시될  수 있음
   - 그린에너지 산업부문에서 전라북도의 산업경쟁력 급상승
   -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조성으로 새만금 지역에 대한 국내외 민간자본의 투자 촉진
   - 새만금 지역이 그린에너지 분야의 R&D와 제품생산이 융합된 이른바 그린에너지 복합

     클러스터로의 발전을 위한 기반 마련
   - 그린에너지 산업뿐만 아니라 전라북도에서 집중 육성하고 있는 첨단 미래산업(식품산업,

      탄소소재산업 등)에 대한 민간자본의 추가투자 가능성 확대

 

○ 새만금 그린에너지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응방안이 모색되어야 함

   - 새만금 개발의 국비 조기투입을 위한 새만금특별회계 설치
   - 인력확보 및 R&D 연계를 위한 전문 교육시설 유치 및 건립
   - 새만금 지역내 정주여건 개선, 의료, 교육 등과 관련된 인프라 조기 구축 지원
   - 그린에너지 산업의 내수시장 확대 및 금융, 세제, 인력 등 새만금 지역내 입주하는

     중소기업의 성장지원

 


 

조회수 9737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