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KREN
SITEMAP
전북연구원
연구보고서
Right innovation, Right path, New Jeonbuk
과제유형 설명
Research Planning Division 전라북도 관련 연구 수행에 기본이 되는 DB구축, 모델개발, 종합실태조사 등 기초연구 성격의 연구 사업
기획과제 외부제안 또는 연구원 스스로 전북발전 방향을 기획하는 미래 지향적 성격의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도정 정책지원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연구원 자체개발 또는 전라북도 요청에 의해 수행하는 연구 사업
현안과제 전라북도 도정현안 대응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중 긴급한 대응이 요구되는 과제로 단기에 수행하는 정책연구 사업
TFT 정부 정책 및 도정 주요 현안 대응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Basic research task: Research with the nature o 중앙부처,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수탁과제 전북특별자치도 은둔형 외톨이 지원 기본계획 수립
  • 부서명
  • 지속사회정책실
  • 발행일
  • 2024
  • 연구책임
  • 이중섭
  • Member
  • 김현수
key word 새창으로보기
key word 새창으로보기
Ⅰ. 은둔형 외톨이 개념 및 현황
1. 은둔형 외톨이 개념 및 정의
2. 은둔형 외톨이 현황 및 생활실태

Ⅱ. 은둔형 외톨이 지원정책 현황
1. 국외 은둔형 외톨이 지원정책 현황
2. 고립·은둔 청년 지원대책 현황

Ⅲ. 은둔형 외톨이 생활실태 분석
1.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 사례 검토
2.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 결과 분석
3. 은둔형 외톨이 FGI 분석

Ⅳ. 은둔형 외톨이 지원 기본계획
1. 은둔형 외톨이 지원계획 방향
2. 은둔형 외톨이 지원계획 비전 및 목표
3. 전북특별자치도 은둔형 외톨이 지원 세부 사업
4. 은둔형 외톨이 지원 연차별 계획
5. 은둔형 외톨이 지원 담당기관별 역할분담

참고문헌
close
Content

● 은둔형 외톨이 지원계획 방향

○ 은둔형 외톨이 지원계획은 크게 고립·은둔 단계별 맞춤형 지원, 지역자원 연계형 통합지원, 생애주기별 가족 중심 종합지원 그리고 위기상황별 신속 지원 등 4가지 원칙을 중심으로 계획 수립

○ 고립·은둔 단계별 맞춤형 지원으로서 은둔형 외톨이는 일시적인 결과로 나타나지 않고 배제와 고립의 과정을 거쳐 은둔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라는 점에서 고립·은둔 단계별 맞춤형 지원 추진

○ 두 번째 방향으로서 지역자원 연계형 통합지원으로 고립·은둔 청년은 단순한 행정기관만이 아닌 다양한 민간기관과의 주기적인 연계를 통한 지원방안 모색 필요

○ 세 번째 정책 방향으로 생애주기 및 가족 중심 지원정책 지원으로서 은둔형 외톨이는 청년에게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청년 이전 청소년 시기에서부터 은둔의 형태가 나타나기도 하고 장년층도 고립·은둔의 고위험 결과로 고독사로 결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애주기별 정책 대응 필요

○ 마지막 방향은 은둔형 외톨이의 다양한 위기 상황에 따른 신속한 지원대책 마련을 중심으로 세부 사업 구상 추진

 

● 은둔형 외톨이 지원계획 비전 및 목표

○ 전북특별자치도 은둔형 외톨이 지원계획은 고립·은둔 청년의 일상 회복을 통한 완전한 지역사회 복귀와 통합을 비전으로 제시

○ 전북특별자치도 은둔형 외톨이 지원계획의 전략체계의 키워드는 예방적 지원과 사회성 향상 지원, 맞춤형 고용지원 그리고 민관연계형 지원으로 구성하고 4대 전략체계로 고립·은둔의 선제적 예방과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 고립·은둔 청년 정신적 치유와 사회적 관계망 확대, 고립·은둔 청년 자립 역량 강화와 경제적 자립 기반 확충 그리고 고립·은둔 청년 주도 지역사회 거버넌스 기반 마련 등으로 제시

○ 고립·은둔 청년의 예방적 지원사업으로 전문상담기관 지정 운영, 발굴 대응체계 구축, 전문 사례 회의 구성 그리고 응급콜센터 운영 등을 세부 사업으로 추진

○ 고립·은둔 청년의 정신적 치유와 사회적 관계망 확대를 위한 세부 사업으로 전문의료기관 지정, 청년 가족 네트워크 지원, 방문상담서비스 제공, 전문 멘토단 운영 등의 사업을 통해서 고립·은둔 청년과 가족의 사회적 치유와 재활 도모

○ 다음으로 고립·은둔 청년의 자립역량 강화와 경제적 자립 기반 확충을 위한 세부 사업으로 직업상담 및 적성검사 지원, 청년 맞춤형 직업교육, 고용 멘토단 운영, 고립·은둔 청년 인턴십 지원, 고용친화사업장 지정 운영 등의 사업 추진

○ 마지막으로 고립·은둔 청년 지역사회 거버넌스 기반 마련을 위한 세부 사업으로 청년 공유공간 조성, 지역거점센터 지정 운영, 정책플랫폼 운영, 산학연계형 지역거버넌스 구축 그리고 고립·은둔 청년 지역서포터즈 운영 등의 사업 추진 

 

● 연구발주기관 : 전북특별자치도 사회복지과 (24SU12​)

 

● ​원문파일 보기 : ​http://repository.jthink.kr/handle/2016.oak/1396

전북특별자치도의 창작 저작물인 전북특별자치도 은둔형 외톨이 지원 기본계획 수립의 경우 "공공누리"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