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KREN
SITEMAP
전북연구원
이슈브리핑
Right innovation, Right path, New Jeonbuk
기본과제 농촌 식품사막 지역 노인의 건강 돌봄체계 구축 전략
  • 부서명
  • 생명경제정책실
  • 발행일
  • 2025.02.27
  • 연구책임
  • 조원지
  • Member
  • 이중섭
key word 새창으로보기
key word 새창으로보기
요약
1. 농촌 식품사막지역 노인의 건강과 일상에 주목해야 한다!
2. 식품사막화와 농촌 노인의 건강 간의 관계
3. 농촌 식품사막화과 노인 건강 문제에 대한 해외 대응 사례
4. 전북특별자치도 농촌 노인의 영양불균형 해소와 건강증진 방안
close
PDF DOWNLOAD 다운로드
316
Content

식품사막과 농촌 노인의 건강·일상 간의 관계

○ 식품사막지역 거주 노인 관련 해외 연구에 따르면, 영양불균형으로 노인의 만성질환(고혈압, 심장질환, 비만 등) 유병률이 높음

○  영양적으로 적합하고 안전한 식품의 이용가능성이 안정되지 않은 ‘식품 불안정성(food insecurity)’은 고령층의 인지 점수를 낮게 하고, 불안,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고립 증상 등을 악화시킴

○  교통약자인 노인의 건강과 일상에 식품사막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클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응한 고령친화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함

전북특별자치도 농촌 노인의 신선식품 접근성과 건강 실태

○ 농촌 노인의 거주지에서 슈퍼, 버스정류장까지 접근성이 낮았으며, 이들의 상업시설과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 만족도가 낮게 나타남

○ 농촌 노인의 절반가량(40.9%)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도시 노인에 비해 높은 비율로 농촌 노인은 영양 관리 차원에서 장보기, 요리 등의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여 영양 섭취 불균형과 건강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음

○ 특히, 부부, 자녀 등과 동거하는 노인보다 독거노인이 영양불균형과 장보기·요리·식사의 어려움을 더 겪고 있어 독거노인의 건강과 돌봄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농촌 노인의 영양불균형 해소와 건강증진 방안

○ 2024년 8월 17일부터 시행된 농촌경제사회서비스법에 기반하여 구성된 ‘농촌 서비스 공동체’는 마을회관을 거점으로 식료품점이나 식품 공급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노인을 위한 영양교육, 건강 상담, 돌봄 등을 마을회관에서 제공

○ 물류거점인 마을회관에 설치한 무인 정보 단말기로 노인이 식료품과 생필품을 주문하면, 단말기에 연결된 상점(예, 농협)은 상품을 마을회관에 배달

○ 주문 품목을 DB화하여 보건소, 영양사협회 등에 전송하면 이들 기관은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하고 노인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

○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운영하는 푸드뱅크는 로컬푸드마켓, 농촌지역 마을기업, 농업인 등으로부터 신선식품을 기부받아 농촌 노인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식품 꾸러미를 제공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