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연구의 개요 3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제 2 절 연구방법 및 범위 5
1. 연구방법 5
2. 연구범위 6
제 2 장 현황분석 9
제 1 절 토지 및 주택현황 9
1. 토지분야 9
2. 주택분야 10
제 2 절 농업 현황 12
1. 농업종사자수 및 생산 12
2. 농업구조 13
3. 농업소득의 감소와 도·농간의 소득격차 심화 14
4. 농업에 민간자본의 유입이 제한적이고 기술적 기반 취약 14
5. 농업의 취약성은 한국 농업의 미래에 걸림돌 15
제 3 절 LH 및 농촌진흥청 관련기관 현황 16
1. LH 및 관련 기관 16
2. 농촌진흥청 및 소속 기관 19
제 3 장 조직의 미래전망 및 이전효과 분석 25
제 1 절 선진국 사례분석 25
1. 외국의 주택 및 토지정책 및 시사점 25
2. 외국의 농업정책과 시사점 31
제 2 절 LH 및 농촌진흥청 관련기관에 대한 전망 및 이전효과 41
1. LH 및 관련 기관에 대한 전망 및 이전 효과 41
2. 농촌진흥청 등에 대한 전망 및 이전 효과 44
제 4 장 LH 및 농촌진흥청 이전에 따른 전북발전 기여도 분석 53
제 1 절 전북경제 파급효과 53
1. 추정방법 53
2. 농업지원군의 파급효과 55
3. 주택건설군 및 LH공사의 파급효과 61
4. 대안 비교 69
제 2 절 이전 기관과 연관 산업의 발전 잠재력 74
1. 연구개발 기능의 중요성 74
2. 주택건설군+LH공사 이전과 전북산업 발전 77
3. 농업지원군 이전과 전북산업 발전 81
제 5 장 전문가 자문 내용 87
1. 김경섭 전북발전연구원 초빙연구위원 88
2. 박삼옥 서울대학교 교수 88
3. 신윤수 삼안 전무 89
4. LH 관계자 A 90
5. LH 관계자 B 91
6. 이정식 안양대학교 교수 95
7.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97
8. 농촌진흥청 관계자 A 99
9. 박시헌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01
10. 농촌진흥청 관계자 B 102
제 1 장 연구의 개요 3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제 2 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
제 2 장 중소기업 기술혁신 특성과 결정요인 9
제 1 절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특성 9
1. 기술혁신의 개념 9
2.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특성 10
제 2 절 기술혁신활동 결정요인 12
1. 기업규모와 기술혁신 12
2. 시장집중과 기술혁신 13
3. 네트워크와 기술혁신 14
4. 수출활동 15
5. 기업연령 15
6. 혁신형 기업 15
7. 기업성장단계 16
제 3 장 전북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행태 19
제 1 절 전북지역 중소기업의 일반현황 19
제 2 절 기술혁신 내부역량 23
1. 최고경영자의 특성 23
2. 기술혁신 조직 및 인력 25
3. 기술혁신 재원 26
제 3 절 기술혁신활동 28
1. 연구개발투자 28
2. 기술개발 유형 28
3. 외부 네트워크 30
제 4 절 기술혁신 성과 32
1. 기술혁신성과 영역 32
2. 매출 및 수출 증대 효과 33
3. 지적재산권 출원 및 등록 실적 34
제 5 절 기술혁신 정책수요 34
1. 기술개발활동의 애로요인 34
2. 기술개발 지원제도 이용의 애로요인 37
2. 기술개발 정책수요 37
제 6 절 소결 41
제 4 장 전북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 47
제 1 절 자료와 변수 47
1. 자료 및 표본의 분포 47
2. 변수의 정의 및 기초통계 49
제 2 절 실증분석 결과 52
1. 회귀분석 모형 52
2. 회귀분석 결과 54
제 3 절 소결 67
제3장 전북지역 투자환경 분석 33
제1절 지역투자환경 결정요인 33
제2절 분석방법 37
1. 지역투자환경 측정지표 구성 37
2. 분석방법 38
제3절 전북지역 투자환경 분석 결과 43
1. 연도별 투자환경 43
제4절 소 결 49
제4장 전북 주요 산단의 투자유치여건 분석 53
제1절 전북 주요산단 현황 53
1. 새만금 산업단지 53
2.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55
3. 김제자유무역지역 58
제2절 전북 주요 산단의 투자유치여건 60
1. 분석방법 60
2. 주요 입지요인 비교 65
3. 종합비교 76
제5장 전북지역 투자유치여건 개선방안 83
제1절 전북 이전기업의 입지환경 인식 83
1. 분석자료 83
2. 전북의 입지환경 인식 83
제2절 전북지역 주요 산단의 투자유치여건 개선방안 88
1. 전북지역 투자유치여건과 개선방향 88
2. 주요 산단의 투자유치여건 개선방안 90
제6장 요약 및 정채제언 97
제1절 연구결과 요약 97
1. 전북지역 산업용지 수급전망 97
2. 전북지역 투자유치 환경 97
3. 전북 주요 산단의 투자유치여건 98
4. 전북지역 투자유치여건 개선방안 98
제2절 정책제언 100
1. 산업용지 수급시기 조정 100
2. 투자보조금액 비공개제도 도입 100
3. 투자유치 펀드 조성 100
4. 산학연 협력 우수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제도 도입 101
5. 투자유치 애로해소집 발간 101
제 1 장 연구의 개요 3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제 2 절 연구방법 및 범위 5
1. 연구방법 5
2. 연구범위 6
제 2 장 현황분석 9
제 1 절 토지 및 주택현황 9
1. 토지분야 9
2. 주택분야 10
제 2 절 농업 현황 12
1. 농업종사자수 및 생산 12
2. 농업구조 13
3. 농업소득의 감소와 도·농간의 소득격차 심화 14
4. 농업에 민간자본의 유입이 제한적이고 기술적 기반 취약 14
5. 농업의 취약성은 한국 농업의 미래에 걸림돌 15
제 3 절 LH 및 농촌진흥청 관련기관 현황 16
1. LH 및 관련 기관 16
2. 농촌진흥청 및 소속 기관 19
제 3 장 조직의 미래전망 및 이전효과 분석 25
제 1 절 선진국 사례분석 25
1. 외국의 주택 및 토지정책 및 시사점 25
2. 외국의 농업정책과 시사점 31
제 2 절 LH 및 농촌진흥청 관련기관에 대한 전망 및 이전효과 41
1. LH 및 관련 기관에 대한 전망 및 이전 효과 41
2. 농촌진흥청 등에 대한 전망 및 이전 효과 44
제 4 장 LH 및 농촌진흥청 이전에 따른 전북발전 기여도 분석 53
제 1 절 전북경제 파급효과 53
1. 추정방법 53
2. 농업지원군의 파급효과 55
3. 주택건설군 및 LH공사의 파급효과 61
4. 대안 비교 69
제 2 절 이전 기관과 연관 산업의 발전 잠재력 74
1. 연구개발 기능의 중요성 74
2. 주택건설군+LH공사 이전과 전북산업 발전 77
3. 농업지원군 이전과 전북산업 발전 81
제 5 장 전문가 자문 내용 87
1. 김경섭 전북발전연구원 초빙연구위원 88
2. 박삼옥 서울대학교 교수 88
3. 신윤수 삼안 전무 89
4. LH 관계자 A 90
5. LH 관계자 B 91
6. 이정식 안양대학교 교수 95
7.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97
8. 농촌진흥청 관계자 A 99
9. 박시헌 박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01
10. 농촌진흥청 관계자 B 102
제 1 장 연구의 개요 3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제 2 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
제 2 장 중소기업 기술혁신 특성과 결정요인 9
제 1 절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특성 9
1. 기술혁신의 개념 9
2.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특성 10
제 2 절 기술혁신활동 결정요인 12
1. 기업규모와 기술혁신 12
2. 시장집중과 기술혁신 13
3. 네트워크와 기술혁신 14
4. 수출활동 15
5. 기업연령 15
6. 혁신형 기업 15
7. 기업성장단계 16
제 3 장 전북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행태 19
제 1 절 전북지역 중소기업의 일반현황 19
제 2 절 기술혁신 내부역량 23
1. 최고경영자의 특성 23
2. 기술혁신 조직 및 인력 25
3. 기술혁신 재원 26
제 3 절 기술혁신활동 28
1. 연구개발투자 28
2. 기술개발 유형 28
3. 외부 네트워크 30
제 4 절 기술혁신 성과 32
1. 기술혁신성과 영역 32
2. 매출 및 수출 증대 효과 33
3. 지적재산권 출원 및 등록 실적 34
제 5 절 기술혁신 정책수요 34
1. 기술개발활동의 애로요인 34
2. 기술개발 지원제도 이용의 애로요인 37
2. 기술개발 정책수요 37
제 6 절 소결 41
제 4 장 전북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 47
제 1 절 자료와 변수 47
1. 자료 및 표본의 분포 47
2. 변수의 정의 및 기초통계 49
제 2 절 실증분석 결과 52
1. 회귀분석 모형 52
2. 회귀분석 결과 54
제 3 절 소결 67
제3장 전북지역 투자환경 분석 33
제1절 지역투자환경 결정요인 33
제2절 분석방법 37
1. 지역투자환경 측정지표 구성 37
2. 분석방법 38
제3절 전북지역 투자환경 분석 결과 43
1. 연도별 투자환경 43
제4절 소 결 49
제4장 전북 주요 산단의 투자유치여건 분석 53
제1절 전북 주요산단 현황 53
1. 새만금 산업단지 53
2.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55
3. 김제자유무역지역 58
제2절 전북 주요 산단의 투자유치여건 60
1. 분석방법 60
2. 주요 입지요인 비교 65
3. 종합비교 76
제5장 전북지역 투자유치여건 개선방안 83
제1절 전북 이전기업의 입지환경 인식 83
1. 분석자료 83
2. 전북의 입지환경 인식 83
제2절 전북지역 주요 산단의 투자유치여건 개선방안 88
1. 전북지역 투자유치여건과 개선방향 88
2. 주요 산단의 투자유치여건 개선방안 90
제6장 요약 및 정채제언 97
제1절 연구결과 요약 97
1. 전북지역 산업용지 수급전망 97
2. 전북지역 투자유치 환경 97
3. 전북 주요 산단의 투자유치여건 98
4. 전북지역 투자유치여건 개선방안 98
제2절 정책제언 100
1. 산업용지 수급시기 조정 100
2. 투자보조금액 비공개제도 도입 100
3. 투자유치 펀드 조성 100
4. 산학연 협력 우수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제도 도입 101
5. 투자유치 애로해소집 발간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