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Jeonbuk State Institute
과제유형 설명
기초과제 전북자치도 발전 선도를 위해 실태조사, DB구축 및 분석 등을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획과제 전북자치도 중기 발전방향 기획 및 성장동력 창출 등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사업
미래전략과제 글로벌 이슈 및 메가트렌드에 대응하여 전북자치도의 장기 발전방향과 미래비전을 설계하는 연구사업
정책과제 정부정책 대응 또는 도 및 시군의 현안 대응과 정책개발을 위해 도와 연구원이 공동으로 발굴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현안과제 전북자치도정의 현안 및 정책의 긴급한 대응을 위해 전북자치도 요청에 따라 단기에 수행하는 연구사업
TFT과제 정부정책 및 전북자치도정 현안 대응 등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수탁(협약)과제 중앙부터,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 등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초과제 전북특별자치도 청년 고용기회와 노동시장 실태분석
  • 부서명
  • 지속사회정책실
  • 발행일
  • 2024
  • 연구책임
  • 전희진
  • 연구진
  • 이강진 전아람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전북특별자치도 청년 노동시장 관련 정책 분석
1. 중앙의 청년 노동시장 관련 정책 분석
2. 전북특별자치도 및 기초지자체 청년 노동 관련 정책 분석
3. 청년 노동시장 관련 기존연구 검토
4. 요약 및 시사점

제3장 전북특별자치도 청년인구 및 일자리 현황
1. 전북특별자치도 청년인구 현황
2. 전북특별자치도 청년 노동시장 현황
3. 전북특별자치도 청년층의 첫 일자리 주요특성 분석
4.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전북특별자치도 청년 고용경험 분석
1. 면접조사 설계와 분석 개요
2. 전북 청년 고용현황과 경험 분석
3. 면접조사 결과와 주요 시사점

제5장 전북특별자치도 청년 노동시장 진단 및 대응방안
1. 전북특별자치도 청년 노동시장 진단
2. 전북특별자치도 정책적 대응방안
3. 향후 연구과제 제안

참고문헌
영문요약(Summary)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주요내용

● 연구 배경 및 목적

○ 한국 사회는 저출생·고령화로 인해 인구 감소와 노동시장 축소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은 비수도권 지역의 인구 감소와 지방소멸 위기를 가속화하고 있음. 전북특별자치도 역시 이러한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특히 양질의 고용기회 부족으로 인해 청년 유출이 주요 문제로 지적됨

○ 전북특별자치도 내 청년 고용률은 전국 평균에 비해 낮고, 비경제활동 인구와 고용 불안정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 이는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저해하며, 장기적으로 지역 경제의 역동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음

○ 전북특별자치도의 노동시장 구조와 청년 고용 기회를 심층 분석하여 청년 유출을 방지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정책 개발 요청

 

● 연구관리 코드 : 24GI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