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은 동부산악권의 산림자원, 중부평야권의 논습지와 둠벙 등 생물서식지, 서부연안권의 갯벌과 지질경관, 섬등 다양한 유형의 생태·환경자산이 풍부
○ 지난 30여 년간 전북의 생태·환경자산은 감소하고 있고, 보호와 규제 중심의 네거티브 정책으로 말미암아 민간의부정적 인식과 참여 제한을 불러옴
○ 이미 선진외국에서는 지역사회가 보유한 생태·환경자산(natural capital)을 분류·평가하여 지역개발 등 사회문제해결과 생태계서비스 제공에 활용하고 있음
○ 민·관 협력의 쌍방향 정책, 인식 증진과 경제적 지원의 포지티브 정책으로 생태·환경자산의 가치 창출을 위한정책과제 방향 전환이 필요한 시점
○ 전북형 생태계서비스지불제 도입, 훼손된 생태환경의 녹색복원 사업, 생태·환경자산의 인식조사 및 평가지도구축, 전라북도 자연환경 조례 개정을 향후 추진과제로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