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적인 산업화와 도시성장 가속화로 산림·습지 등 자연공간이 감소하면서 생물다양성과 생태·환경자산이 줄어들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국적으로 도시화율이 증가하면서(2020년 92%) 주거·상업·공업지역 면적은 지난 30여 년간 2~3배 증가한 반면 산림과 농경지역은 감소했다. 전북 지역도 도시개발과 산업단지 조성 등으로 생태·환경자산의 급격한 감소를 경험하고 있다.
○ 이에 최근 국제사회는 훼손된 생태·환경자산을 양적으로 늘리고 질적으로 회복하는 구체적인 생태환경 복원 목표를 수립하고, 지역사회가 적극 참여토록 요청하고 있다. UN은 「생태계 복원 10개년(2021~2030)」을 통해 10년간 생태복원에 집중할 것을 천명하였고, 생물다양성협약(CBD)은 2030년까지 훼손된 생태계의 30% 복원을 제시하였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Nature-Positive”달성을 위해 자연을 회복하고 양(+)의 상태로 되돌려 지구의 회복력을 강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녹색복원” 개념을 도입하고 산림·해양·습지·정주지 생태복원사업 확대와 생태복원지역의 자연공존지역(OECM)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 선진 외국은 녹색복원을 통해 생태계 회복과 생태관광, 일자리 창출과 지역 이미지 개선 등 경제적·사회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미국 뉴욕시는 9백만㎡ 쓰레기 매립장인 프레쉬 킬스를 복원하여 생태과학과 예술 프로젝트를 개최하는 곳으로 변모시켰다. 영국 에덴 프로젝트도 폐 채석장을 식물원과 공원으로 바꾸어 방문객을 끌어들이고, 정원 문화를 확산하는 곳으로 만들었다. 네덜란드 오스트바르더스플라센은 1960년대 조성된 간척지를 시민제안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야생동물이 뛰노는 초지와 생태탐방로를 조성하여 생태관광에 기여하고 있다.
○ 전북에서도 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자연의 보전·복원과 생태자원의 현명한 활용을 정책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추진된 복원사업은 환경부 국가예산 보조사업 중심으로 추진돼 왔다. 따라서 사업 규모가 작고, 생태환경 복원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전북의 생태환경 여건 반영에 한계가 있고, 생태계 연결성 향상과 지역사회 파급효과를 내는 데 어려움이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녹색복원은 협의의 생태복원을 넘어 광의의 녹색복원을 지향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생태환경 복원, 생태경제 창출, 지역사회 회복을 목표로 두고자 한다. 추진과제로는 소규모 마을단위의 점적 복원, 지역간 연계를 위한 선적 복원, 대규모의 광역적이고 융합적인 복합 사업을 위한 면적 복원의 과제를 제안한다. 특별히 익산 왕궁처럼 대규모 생태훼손지 복원을 통해 연속생태계 복원과 생태경제 창출, 지역사회 참여의 시너지 효과가 큰 곳을 선도과제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녹색복원 지원예산의 확대와 민간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할 것을 요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