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Jeonbuk State Institute
과제유형 설명
기초과제 전북자치도 발전 선도를 위해 실태조사, DB구축 및 분석 등을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획과제 전북자치도 중기 발전방향 기획 및 성장동력 창출 등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사업
미래전략과제 글로벌 이슈 및 메가트렌드에 대응하여 전북자치도의 장기 발전방향과 미래비전을 설계하는 연구사업
정책과제 정부정책 대응 또는 도 및 시군의 현안 대응과 정책개발을 위해 도와 연구원이 공동으로 발굴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현안과제 전북자치도정의 현안 및 정책의 긴급한 대응을 위해 전북자치도 요청에 따라 단기에 수행하는 연구사업
TFT과제 정부정책 및 전북자치도정 현안 대응 등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수탁(협약)과제 중앙부터,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 등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정책과제 한미 FTA 대응 전라북도 산업별 연구 : 식품가공산업
  • 부서명
  • 산업경제연구부
  • 발행일
  • 2011
  • 연구책임
  • 김재구
  • 연구진
  • 최성환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제 1 장 연 구 의 개 요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3 절 연구의 체계

제 2장 한 미 FTA 및 국 내 외 식 품 가 공 산 업 현 황
제1절 FTA 개요
제2절 한미 FTA 추진과정 및 내용
제3절 국내외 식품가공산업 현황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제 3장 한 미 FTA가 전 북 식 품 가 공 산 업 에 미 치 는 영 향
제 1 절 우리나라 식품산업 수출입 구조
제 2 절 전라북도 식품산업 수출입 구조
제 3 절 전라북도 식품가공산업 수출경쟁력
제 4 절 요 약

제 4장 전 라 북 도 식 품 가 공 산 업 경 쟁 력 강 화 방 안
제1절 한미 FTA에 따른 전라북도 식품가공산업 SWOT 분석
제2절 대미 먹거리 수출 전략 및 유망 품목(KITA, 2011)
제3절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농림수산식품부, 2011)
제4절 한미 FTA 대응을 위한 정책방향

제 5 장 연 구 종 합 및 정 책 제 언
제 1 절 연구종합
제 2 절 정책 제언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주요내용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를 통해 FTA에 따른 지역산업의 영향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전라북도에서 전략산업으로 육성중인 식품산업(식품가공산업)이 한미 FTA로 인해 예상되는 영향을 분석함.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미 FTA에 대한 전라북도 식품가공산업의 대응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함.

❚ 연구의 범위

○ 시간적 범위
- 본 연구의 기준년도는 자료구득 상의 가능범위를 고려하여 2010년으로 설정함.

○ 공간적 범위
-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광역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전라북도 지역으로 한정함.
-  또한 본 연구는 한미 FTA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기 때문에 국제교역에 있어서 주요 대상국을 미국을 중심으로 제시됨.

○ 내용적 범위
-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 자료구득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라북도 내 식품산업 중 신선식품을 제외한 식품가공산업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함.
- 왜냐하면, 수출입 등에 있어 보관 및 운송에 있어 신선식품보다는 가공식품의 규모가 크며, FTA 체결 등 교역구조의 변화에 따라 고부가가치화된 가공식품의 시장범위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임.
- 일반적으로 식품가공산업은 식품의 원료인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의 특성을 살려 보다 맛있고 먹기 편한 것으로 변형시키는 동시에 저장성을 좋게하기 위한 식품을 생산하는 산업이라 할 수 있음.

❚ 연구 내용

○ 식품가공산업분야 관련 한미 FTA 체결 상황.

○ 국내 및 전라북도 식품가공산업 현황.

○ 한미 FTA에 따른 전라북도 식품가공산업의 경쟁력 변화.

○ 정책적 시사점 도출 및 제언.

❚ 연구관리 코드 : 11JU53


11JU53_한미 FTA 대응 전라북도 산업별 연구-식품가공산업_김재구_연심회.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