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도시, 지자체 의지에 달렸다”
○ 백년포럼 27강‘기후변화와 지속가능한 도시’
○“지자체 모든 사업 탄소중립 관점 마인드 필요”
○ 기후변화에 대응,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의지와 역할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시됐다.
○ 전북연구원(원장 이남호)은 25일 오전 8시 전북특별자치도청 대회의실에서‘기후변화와 지속가능한 도시’를 주제로 「전북 백년포럼」 제27강을 개최하였다.
○ 이번 백년포럼 강연자로 나선 에코나우 하지원 대표는 “환경문제가 인류의 건강과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며 미세먼지, 물 부족 및 오염, 플라스틱 위협, 음식물 쓰레기 등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 특히 ‘요리 매연’은 디젤 매연보다 훨씬 많은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1군 발암물질로 여성 폐암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어 미국 뉴욕의 요리 매연 제어장치 설치 의무화 등 정책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 하지원 대표는 “IPCC(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에서는 사람의 의사결정과 행동으로 2050년까지 온실가스 40~70% 감축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며 환경문제 대응과 지속가능한 도시의 핵심은 생활, 문화, 사회, 산업의 ‘대전환’에 대한 지자체의 의지라고 강조했다.
○ 구체적으로 전북특별자치도와 같은 지자체 차원에서 모든 사업을 탄소중립 관점과 제품 생애주기 관점에서 바라보는 마인드 변화,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기후변화/ESG 관점에서의 사업 추진, 관행적 제도, 조례, 규정 등 점검, 에코라이프를 위한 교육 및 시스템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전북연구원 이남호 원장은 “환경문제 대응은 전 인류적 관점에서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산업, 관광, 복지 등 전북연구원의 모든 분야 연구에서도 환경적 관점을 견지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전북 백년포럼’은 전북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전북연구원과 전주상공회의소가 공동주관하며 관련 실무부서 담당자, 출연기관 및 유관기관 임직원 등이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