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Jeonbuk State Institute
과제유형 설명
기초과제 전북자치도 발전 선도를 위해 실태조사, DB구축 및 분석 등을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획과제 전북자치도 중기 발전방향 기획 및 성장동력 창출 등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사업
미래전략과제 글로벌 이슈 및 메가트렌드에 대응하여 전북자치도의 장기 발전방향과 미래비전을 설계하는 연구사업
정책과제 정부정책 대응 또는 도 및 시군의 현안 대응과 정책개발을 위해 도와 연구원이 공동으로 발굴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현안과제 전북자치도정의 현안 및 정책의 긴급한 대응을 위해 전북자치도 요청에 따라 단기에 수행하는 연구사업
TFT과제 정부정책 및 전북자치도정 현안 대응 등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수탁(협약)과제 중앙부터,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 등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 발전방안
  • 부서명
  • 창조경제산업연구부
  • 발행일
  • 2016
  • 연구책임
  • 김수은
  • 연구진
  • 안동신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기대효과

제2장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 관련 정책현황
제1절 산학협력 개념 및 필요성
제2절 산학협력 인력양성 관련 중앙정부 정책동향
제3절 전라북도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 추진현황

제3장 전라북도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 실태 및 시사점
제1절 조사 설계
제2절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 참여기업의 산학협력 인식실태조사 분석결과
제3절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 참여자 의견 조사 분석
제4절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 참여 사업단 운영사례의 시사점

제4장 산학협력 인력양성 우수사례 분석 및 시사점
제1절 사례분석
제2절 시사점

제5장 전라북도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 발전방안
제1절 산학협력 인력양성 정책방향
제2절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 발전을 위한 과제

제6장 정책적 제언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주요내용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산업인력은 산업을 구성하는 기업활동의 근간이 되므로 산업인력 수요와 공급이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중요함

 

  - 산학협력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정부는 지역산업 인력양성, 일자리창출 등을 목적으로 산학협력 촉진정책 및 관련 사업들을 추진해왔음

 

○ 최근 정부의 대학교육정책이 대학-기업이 산학협력을 통해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고, 졸업 후 취업을 연계하는 ‘사회맞춤형’으로 전환되고 있어 산학협력형 인력양성사업의 중요성은 더 확대될 전망

 

  - 교육부는 산학협력 중장기 로드맵을 담은 “산학협력 5개 년 계획(‘16~‘20)” 및 창업・취업 지원을 강화하는 Post-LINC사업 기본계획을 수립

 

○ 전라북도에서도 성장동력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업 및 산업 수요에 맞는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을 확대하고 있음

 

  - 전라북도 산학협력 인력양성사업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와 청년의 취업률 제고를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지역산업 인력양성 등으로 범위와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 도내 산학협력형 인력양성사업이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그 규모도 확대되고 있지만, 사업의 성과 극대화 등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존재

 

  - 전북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연차별 인력 수급차이는 2014년 1,414명에서 2017년 5,612명의 초과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수급불균형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

 [그림] 전북 성장동력산업 인력수급차 (전북테크노파크, 2014)

  - 현장실무 강화, 기업 현실에 맞는 커리큘럼 개발 등 사업 프로그램이 보완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됨

 

  - 기업의 필요성보다 교수와 대학과의 인적네트워크에 의존하여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참여기업과 학생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이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가 독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형 인력양성사업을 진단하고, 효율적인 운영 및 발전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음

 

  - 특히 전라북도 산학협력형 인력양성사업이 현장적합성 높은 인력양성을 통한 지역산업 육성의 지원이라는 측면에서 추진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목적의 달성도 및 사업의 성과에 대한 진단이 필요한 시점임

 

❚ 연구관리 코드 : 16JU04​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