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Jeonbuk State Institute
과제유형 설명
기초과제 전북자치도 발전 선도를 위해 실태조사, DB구축 및 분석 등을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획과제 전북자치도 중기 발전방향 기획 및 성장동력 창출 등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사업
미래전략과제 글로벌 이슈 및 메가트렌드에 대응하여 전북자치도의 장기 발전방향과 미래비전을 설계하는 연구사업
정책과제 정부정책 대응 또는 도 및 시군의 현안 대응과 정책개발을 위해 도와 연구원이 공동으로 발굴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현안과제 전북자치도정의 현안 및 정책의 긴급한 대응을 위해 전북자치도 요청에 따라 단기에 수행하는 연구사업
TFT과제 정부정책 및 전북자치도정 현안 대응 등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수탁(협약)과제 중앙부터,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 등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본과제 2020 전북형 행복지표
  • 부서명
  • 사회문화연구부
  • 발행일
  • 2020
  • 연구책임
  • 김동영
  • 연구진
  • 최윤규 송용호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제2장 행복 개념과 측정
1. 행복에 관한 개념
2. 행복 측정 지표
제3장 전북 2020년형 행복지표 구상
1. 전라북도 행복지표 개발 사례
2. 타시도 행복지표 사례분석
3. 2020년형 전북형 행복지표 구상
제4장 2020년 전라북도 행복현황
1. 주관적 행복감
2. 경제
3. 가족관계
4. 건강
5. 사회적관계
6. 문화여가
7. 복지
8. 안전
9. 주거
10. 환경
11. 비교지표
12. 2017년-2020년 전북의 행복도 비교
제5장 전북 행복지표 시사점
1. 전라북도민 행복요인 분석
2. 행복정책 연계방안 모색
제6장 결론 및 제언
부록-설문지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주요내용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지금까지 대한민국은 경제성장을 가장 중요한 사회적 가치와 지표로 삼고 국가를 운영해왔으나 2006년 OECD의 국가행복지수(National Index of Wellbeing)와 2012년 UN의 세계행복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가 발간되면서 전세계적으로 국민총생산(GDP)으로 측정하던 국가나 도시발전의 척도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가 시작되었다.

○ 과도한 불평등을 수반한 GDP중심의 성장전략은 다수 국민의 행복증진에 도움이 되지 못하므로 국민행복 또는 삶의 질 향상을 지향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이에 맞춰 정부정책도 국민의 행복 수준 개선을 위해 국정운영의 주요 목표중 하나를 국민행복 증진으로 설정하였다.

○ 전라북도에서는 이러한 정책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2016년 말 행복지표개발연구를 통해 전북형 행복지표를 개발하였고, 2017년에는 개발된 행복지표에 따라 도민의 행복도를 조사하고 현황을 분석하여 전라북도의 행복정책을 제안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북형 행복지표는 원탁회의에서 제기된 세대별 행복지표의 특성을 반영하고 이를 16개 시도와 비교 가능하도록 사회조사지표를 중심으로 객관적 지표를 구성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주관적 행복지표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행복지표체계를 마련하였다.

○ 그러나 2017년 전북의 행복지표 조사 및 정책개발 연구 이후 도민의 행복에 대한 후속연구 및 행복도 조사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변화된 환경과 정책에 따른 기 발굴된 전라북도 행복지표의 개선과 행복현황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이에 따라 주기적인 도민 행복도를 조사하여 도민 행복도의 추이와 이에 따른 전라북도 행복정책의 점검이 필요하며, 성장과 개발중심에서 도민의 삶의 가치를 중시하는 정책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전라북도 행복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 연구관리 코드 : 20GI01 

첨부파일
20BR03_20GI01_2020 전북형 행복지표_김동영.pdf  조회수 : 8425    다운로드 수 : 3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