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Jeonbuk State Institute
과제유형 설명
기초과제 전북자치도 발전 선도를 위해 실태조사, DB구축 및 분석 등을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획과제 전북자치도 중기 발전방향 기획 및 성장동력 창출 등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사업
미래전략과제 글로벌 이슈 및 메가트렌드에 대응하여 전북자치도의 장기 발전방향과 미래비전을 설계하는 연구사업
정책과제 정부정책 대응 또는 도 및 시군의 현안 대응과 정책개발을 위해 도와 연구원이 공동으로 발굴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현안과제 전북자치도정의 현안 및 정책의 긴급한 대응을 위해 전북자치도 요청에 따라 단기에 수행하는 연구사업
TFT과제 정부정책 및 전북자치도정 현안 대응 등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수탁(협약)과제 중앙부터,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 등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목적 및 내용
제2절 연구방법

제2장 외국인 근로자 취업 현황 및 지원정책
제1절 외국인력 유입 및 취업현황
제2절 외국인력 정책 현황 고찰
제3절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외국인 근로자 관련 시책 추진현황

제3장 전라북도 외국인 근로자 실태조사 분석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 및 생활 실태
제3절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4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제1절 전라북도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지원 정책방안
제2절 결론: 외국인‘주민’으로서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지원정책 수립

참고문헌

부 록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 1 장 한스타일 표준화 로드맵

제 1 절. 서론
제 2 절. 국내‧외 표준화 동향
제 3 절. 산업 및 정책 동향
제 4 절. 표준화 수준진단 및 표준화 항목 발굴
제 5 절. 분야별 표준화 추진계획
제 6 절. 항목별 표준화 내용
제 7 절. 표준화 로드맵 및 표준화 활성화 방안

제 2 장 한스타일 KS제정안 개발

제 1 절. 한옥 용어 KS제정안 개발
제 2 절. 전통비빔밥 KS제정안 개발
제 3 절. 한지 제품 KS제정안 개발
제 4 절. 결구법(짜맞춤) KS제정안 개발
제 5 절. 전통색 KS제정안 개발

참고문헌

부록(별책)
1. 한스타일 분야 관련 특허 목록
2. 한옥용어표준안_조사목록
닫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전라북도 중국유학생 유학실태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전라북도 중국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새만금 군산 경제자유구역 중화자본 유치 촉진을 위한 방안 연구

새만금개발을 위한 중화자본유치 기초연구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전북도의 대응방안


제1장 연구 개요

제2장 선진국 우수사례 분석

제3장 국내 풍력산업 동향

제4장 부문별 해상풍력산업 육성 로드맵 설정

제5장 연관 산업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닫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2013 전라북도 관광객 실태조사 개요

제2장 종합분석 및 주요 조사결과
제1절 2013 전라북도 관광객 실태조사결과 종합분석
제2절 2013 전라북도 관광객 실태조사결과 요약
제3절 1/4분기(겨울) 전라북도 관광객 실태조사 주요 결과
제4절 2/4분기(봄) 전라북도 관광객 실태조사 주요 결과
제5절 3/4분기(여름) 전라북도 관광객 실태조사 주요 결과
제6절 4/4분기(가을) 전라북도 관광객 실태조사 주요 결과

제3장 시·군별 관광객 실태조사 결과
1. 전주시
2. 군산시
3. 익산시
4. 정읍시
5. 남원시
6. 김제시
7. 완주군
8. 진안군
9. 무주군
10. 장수군
11. 임실군
12. 순창군
13. 고창군
14. 부안군
15. 새만금

참고문헌

부 록
1. 2013 전라북도 관광객 실태조사 설문지 (1분기)
2. 2013 전라북도 관광객 실태조사 설문지 (2ㆍ3ㆍ4분기)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MICE 산업 현황 및 정책동향
제1절 국내·외 MICE 산업 동향
1. MICE 산업의 개념 및 중요성
2. 세계 MICE 산업 동향
제2절 MICE 산업 관련 정책동향
1. MICE 산업의 정부 정책동향
2. 타 지자체 MICE 산업 육성정책 추진현황
제3절 국내 MICE 산업 현황
1. 국내 MICE 산업 시장현황
2. 국내 MICE 인프라 현황
3. 국내 MICE 인력현황
4. 국내 MICE 참가자 특성
제4절 해외 MICE 산업 육성정책 추진사례
1. 독일
2. 싱가포르
3. 프랑스
제3장 전라북도 MICE 산업 여건분석
제1절 전라북도 MICE 산업 인프라 현황
1. 전문회의시설
2. MICE 개최 관련시설
제2절 전라북도 MICE 개최현황
1. 전라북도 MICE 개최현황
2. MICE 관련 사업체 현황
3. 전라북도 MICE 유치현황
제3절 전라북도 MICE 산업 경쟁력
1. 전라북도 지역산업 여건
2. 전라북도 MICE 산업의 경쟁력 및 발전잠재력
제4절 전라북도 MICE 산업 여건분석 및 과제
1. 여건분석 종합
2. 전라북도 MICE 산업 육성을 위한 선결과제

제4장 전라북도 MICE 산업 육성방안
제1절 기본방향
제2절 부문별 MICE 산업 활성화 방안
1. MICE 인프라 구축
2. MICE 산업 기반강화
3. MICE 산업 인력양성 및 연구기능 강화

제5장 요약 및 정책제언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정책제언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