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Jeonbuk State Institute
과제유형 설명
기초과제 전북자치도 발전 선도를 위해 실태조사, DB구축 및 분석 등을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획과제 전북자치도 중기 발전방향 기획 및 성장동력 창출 등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사업
미래전략과제 글로벌 이슈 및 메가트렌드에 대응하여 전북자치도의 장기 발전방향과 미래비전을 설계하는 연구사업
정책과제 정부정책 대응 또는 도 및 시군의 현안 대응과 정책개발을 위해 도와 연구원이 공동으로 발굴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현안과제 전북자치도정의 현안 및 정책의 긴급한 대응을 위해 전북자치도 요청에 따라 단기에 수행하는 연구사업
TFT과제 정부정책 및 전북자치도정 현안 대응 등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수탁(협약)과제 중앙부터,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 등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방법 및 기대효과 6
제3절 선행연구의 검토 8

제2장 의료관광 정의 및 사례분석 13
제1절 의료관광의 개념 및 유형 13
제2절 의료관광 사례분석 19
1. 의료관광 사업 유형별 추진사례 19
1) 의료서비스 유형 19
2) 의료서비스와 관광상품 연계형 21
3) 한방 의료관광 유형 24
4) 토탈헬스케어형 및 복합단지형 28
2. 의료관광 추진 체계 구축 사례 32
1) 서울특별시 32
2) 부산광역시 34
3) 대구광역시 37
4) 제주특별자치도 39
5) 대전광역시 40
6) 강원도 42
3. 시사점 44

제3장 전라북도 의료관광 현황분석 및 발전방안 49
제1절 전라북도 의료관광 현황분석 49
1. 국내 의료관광 현황 분석 49
2. 전라북도 의료관광 현황분석 55
3. 전라북도 의료자원 현황분석 62
4. 시사점 85
제2절 전라북도 의료관광 발전 전략 88
1. 전라북도 의료관광 비전 88
2. 전라북도 의료관광 육성을 위한 추진전략 89
3. 추진과제 90
제3절 전라북도 의료관광 발전 방안 95
1. 지속가능한 의료관광 기반 구축 및 생태계 조성 95
1) 미래형 피부과산업 클러스터 구축 95
2) 뷰티산업단지 조성 99
3) 국가감성융합연구단지 조성 101
4) 休원예테라피센터 건립 105
5) 아쿠아 융복합 힐링타운 조성 107
6) 체질별 한방웰빙체험관 건립 109
7) 섬진강 힐링 로드 조성 110
8) 헬스‧휴양타운 조성 112
9) 한방 휴(休) 메디컬 스트리트 조성 113
10) 세계정신문화건강체험 특구: 선(禪)문화복합컴플렉스 조성 116
11) 재활로봇산업 클러스터 조성 123
2. 지역 간 연계협력 및 상품개발을 통한 의료관광 고도화 126
1) 음양오행(陰陽五行)한방의료관광 상품개발 126
2) 슬로푸드 체험 관광코스 개발 128
3) 의료관광 상품 개발 및 마케팅 지원 사업 130
4) K-호스팜 연계 협력 사업 141
3. 안정적 의료관광 육성 환경 조성 144
1) 홍보 및 마케팅 강화 144
2) 의료관광객 발굴 및 유치 기반 강화 148
3) 의료관광 인력양성 및 인프라 구축 153

참고문헌 163
부 록 167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 1 장 서 론

제 2 장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조직분석 및 관련 쟁점 분석
제 1 절 기금운용 관련 조직의 역할
제 2 절 기금운용본부의 조직구조, 운용시스템 분석
제 3 절 기금운용본부 전북이전 및 정착 관련 쟁점 분석
제 4 절 기금운용본부의전북이전 및정착방안도출을 위한설문조사결과
제 5 절 소결 : 기금운용본부의 전북이전 및 정착방안 추진과제 도출

제 3 장 기금운용본부 전북 이전 및 정착방안
제 1 절 총괄 및 추진계획 개요
제 2 절 세부사업별 추진방안(이전 및 정착단계를 중심으로)

제 4 장 국내외 금융도시 육성사례 분석
제 1 절 해외 사례
제 2 절 국내 금융중심지 조성사례
제 3 절 소 결

제 5 장 전라북도 금융도시 육성방향
제 1 절 전라북도 금융도시 육성의 기본방향
제 2 절 기금운용본부를 매개로 한 전라북도 금융도시 육성과제

제 6 장 결 론 : 정책적 제언
제 1 절 지역주민들과의공감대형성을통한이주민들의심리적불안감해소
제 2 절 기금운용본부 이전에 따른 다양한 기업유치 전략준비 필요
제 3 절 익산 KTX 역사의 활용극대화

참고문헌

부 록
닫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3절 선행연구의 고찰

제2장 혁신도시내 이전기관의 현황, 이전효과, 지역협력 사례
제1절 전북지역 이전 공공기관의 현황
제2절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이전효과
제3절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협력 사례

제3장 공공기관 이전사례 분석
제1절 국내 사례
제2절 해외 공공기관
제3절 정책적 함의

제4장 혁신도시내 공공기관 이전효과 극대화방안
제1절 생명생물과학기술 군(群)
제2절 교육 및 복지 군(群)
제3절 국토정보신기술 군(群)

제5장 정책적 제언
제1절 공공기관의 이전효과 극대화를 위한 기반 마련
제2절 공공기관 이전효과의 공유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참고문헌

부 록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3절 선행연구의 고찰

제2장 외국인학교 유치를 위한 연구 틀
제1절 외국인학교의 개념 및 설립(유치)요건
제2절 외국인학교의 유형(국제인증기관 및 국제표준화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제3절 외국인학교를 둘러싼 쟁점분석

제3장 외국인학교 사례조사
제1절 국내 외국인학교
제2절 해외 외국인학교
제3절 시사점

제4장 전라북도 외국인학교 유치를 위한 여건 분석
제1절 분석 틀
제2절 전라북도 외국인학교 유치를 위한 여건분석
제3절 시사점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부 록
닫기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목적 및 내용
제2절 연구방법

제2장 전라북도 다문화가족 정책 현황 분석
제1절 중앙정부의 다문화가족 정책 동향
제2절 전라북도의 다문화가족정책 추진내용

제3장 전라북도 다문화가족 생활 및 경제활동 분석
제1절 2012년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개요
제2절 다문화가족 현황 및 가구 특성
제3절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의 생활 및 경제활동
제4절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의 배우자 생활 및 경제활동
제5절 다문화가족 자녀(9세~24세)의 가정 및 사회생활
제6절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4장 전북 다문화가족의 지원 서비스 이용 및 지원 요구분석
제1절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의 지원서비스 이용 및 지원요구분석
제2절 다문화가족 자녀(9~24세)지원서비스 이용 및 요구 분석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전라북도 다문화가족 정착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제1절 전라북도 다문화가족 정착 지원을 위한 정책방향
제2절 분야별 주요 추진과제

참고문헌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 기대효과

II. 학교급식 현황
1. 학교급식 관련 제도의 변화
2. 국내외 학교급식 현황 및 시사점

III. 학교급식체계 타시도 사례 분석
1. 경기도 학교급식체계
2. 서울특별시 학교급식체계
3. 당진시 학교급식체계
4. 나주시 학교급식체계
5. 울산광역시 북구 학교급식체계

IV. 전라북도 학교급식 개편방향
1. 전라북도 학교급식 현황 및 예산
2. 농가 직접 공급 현황
3. 농가직접 공급 미비 이유
4. 학교급식체계 개편 방향 및 원칙

V. 학교급식유통체계 대안 검토
1. 대안1 : 광역(권역)유통형
2. 대안2 : 시군중심형
3. 대안 비교
4. 전라북도 학교급식 유통 대안 : 시군중심형 친환경학교급식

VI. 시군중심형 학교급식 핵심정책 과제
1. 시군중심형 학교급식의 문제점
2. 시군중심형 학교급식을 위한 핵심 정책과제

VII. 전북형 학교급식 실행계획
1. 실행계획 종합
2. 시군중심형 학교급식 구축을 위한 실행계획
3. 수도권 학교급식 추진 방향
4. 제휴푸드를 위한 전북광역센터 구상 및 운영(안)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 기대효과

II. 로컬푸드 개념 및 유형
1. 로컬푸드 개념
2. 로컬푸드 혜택
3. 로컬푸드 유형

III. 전라북도 농업현황 및 당면과제
1. 전라북도 농업 현황
2. 국내 농업·농촌의 핵심 문제
3. 전북 농업·농촌의 당면문제
4. 정책방향

IV. 소비자 조사 결과
1. 설문 조사 대상, 기간 및 방법
2. 조사자 특성 및 식품 소비성향
3.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자행동분석 결과
4. 소비자조사결과 요약 및 시사점

V. 전북 로컬푸드체계구축 기본계획
1. 전북로컬푸드정책의 기본 방향
2. 전북 로컬푸드 단계적 발전방향
3. 전라북도 로컬푸드 발전비전 및 전략
4. 전북로컬푸드 세부 추진전략
5. 로컬푸드사업 추진 전략
6. 주요 쟁점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빅데이터 정책동향 및 선행연구고찰

제1절 빅데이터 개념 및 동향
1. 빅데이터 개념 및 가치
2. 국내외 빅데이터 동향

제2절 관련 법제도 및 계획
1. 관련 법 제도
2. 국가 및 지역차원의 관련계획

제3절 빅데이터 관련 선행연구

제3장 빅데이터 활용사례 조사 및 분석

제1절 빅데이터 활용사례 조사
1. 국외 사례
2. 국내 사례

제2절 빅데이터 유형별 활용사례 분석
1. 빅데이터 유형분류
2. 빅데이터 유형별 활용 사례 분석

제3절 도정 주요부서별 활용사례
1. 기획관리실
2. 민생일자리본부
3. 문화체육관광국
4. 새만금환경녹지국
5. 전략산업국
6. 농수산국
7. 복지여성국
8. 건설교통국
9. 대외소통국
10. 안전정책관·소방본부
11. 기타
12. 특징 및 시사점

제4장 전라북도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방안

제1절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사업 발굴
1. 맞춤형 서비스
2. 선제적 예측

제2절 전라북도 공공분야 빅데이터 활성화 시책
1. 국토공간계획지원시스템 구축사업
2. 도시계획정보시스템 구축사업
3. 시군구 국가공간정보통합시스템 구축사업
4. 시군구 행정공간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제1절 결론
1.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공공의 역할 정립

제2절 정책적 제언
1. 공공 빅데이터의 통합적 활용기반 조성

참고문헌

부록

제1절 정보공개 목록
1. 행정공간정보체계
2. 전라북도청 행정정보 공개
3. 전라북도 도정현황통계시스템

제2절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발굴 사업 관련 협의
1. 발굴사업 자문평가
2.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발굴 사업 실국 관련부서 회의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필요성 및 방법

Ⅱ. 사회서비스의 개념 및 일자리 연계 가능성
1. 사회서비스의 개념 및 범위
2. 사회서비스 일자리의 성장 가능성
3.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업 현황 및 정책동향

Ⅲ. 전라북도 사회서비스 바우처 현황
1. 전라북도 사회서비스 사업 개관
2. 전라북도 사회서비스 관련 자원 현황
3. 전라북도 사회서비스 관련 자원 분석
4. 전라북도 사회서비스 이용자 현황

Ⅳ. 사회서비스 바우처와 일자리 정책의 연계
1. 사회서비스 바우처사업 욕구 및 일자리 수요 분석
2. 장애인 대상 사회서비스 수요
3. 사회서비스 일자리 제공인력 수요
4.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공인력 분석결과

Ⅴ. 전라북도 사회서비스바우처 일자리 연계 연계방안
1. 사회서비스 바우처사업의 제공인력 기준 및 현황
2. 사회서비스 바우처사업의 제공인력 교육기준
3. 사회서비스 바우처사업의 일자리 연계 방안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장 새만금지구 현황 검토 7
1. 새만금지구 종합계획 7
가. 새만금 주변지역 8
나.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 주요 내용 9
다. 신재생에너지 메카조성 11
라. 생태환경용지 11
마. (주요 기반시설 계획) 1.28 기본구상’의 인프라계획 보완·구체화 14
2. 새만금지구 기반시설 및 교통시설계획 16
가. 새만금 내부개발사업 16
나. 새만금지역 광역연계교통체계구축 계획수립 22
다. 새만금 신항만 개발 기본계획 및 신항만건설 예정지역 28
3. 관련 상위계획 검토 33
가.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33
나. 전라북도 종합계획(2012~2020) 35
다. 국가기간교통망계획 제2차 수정계획(2010~2020) 36

제3장 남북2축도로 사업비 추정 41
1. 선행연구 비용 비교 및 주요쟁점 41
가. 동서2축 41
나. 남북2축 42
다. 도로 및 철도의 비용기준 시점 42
2. 대안 선정 및 기술적 검토 43
가. 대안의 선정 43
나. 대안 선정 결과 43
다. 기술적 검토 47

3. 남북2축 도로의 비용재산정 51
가. 비용산정시 기본 가정 51
나. 비용 추정의 기본방향 51
라. 공사비 산출 기준 61

제4장 새만금~군산철도 건설비용 추정 77
1. 새만금~군산철도의 기술적 검토 77
가. 직결 노선 검토 77
나. 노선대안 선정 78
다. 만경강 횡단 교량 형식 검토 79
라. 선행연구 내용 분석 및 노선대안 검토 81
2. 새만금~군산(대야)간 철도 건설사업 비용 재산정 82
가. 비용산정시 기본 가정 82
나. 비용 추정의 기본방향 82
다. 기준연도 및 부가가치세 처리 83
라. 철도 건설기준 84
마. 공사비 추정 86
바. 부대비 추정 90
사. 비용추정 결과 93

제5장 남북2축, 새만금~군산철도 동시추진 99
1. 동시추진 절감비용 산정 99
가. 도로분야 99
나. 철도분야 100
2. 동시추진 비교 검토 101
가. 비용산정의 한계 101
나. 남북2축도로 비용 재산정 비교 검토 101

제6 장 결론 및 정책제언 105

참고문헌 106
부 록 10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