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REN
전체메뉴SITEMAP
전북연구원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Jeonbuk State Institute
과제유형 설명
기초과제 전북자치도 발전 선도를 위해 실태조사, DB구축 및 분석 등을 수행하는 연구사업
기획과제 전북자치도 중기 발전방향 기획 및 성장동력 창출 등을 위해 수행하는 연구사업
미래전략과제 글로벌 이슈 및 메가트렌드에 대응하여 전북자치도의 장기 발전방향과 미래비전을 설계하는 연구사업
정책과제 정부정책 대응 또는 도 및 시군의 현안 대응과 정책개발을 위해 도와 연구원이 공동으로 발굴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현안과제 전북자치도정의 현안 및 정책의 긴급한 대응을 위해 전북자치도 요청에 따라 단기에 수행하는 연구사업
TFT과제 정부정책 및 전북자치도정 현안 대응 등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수탁(협약)과제 중앙부터,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 등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사업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

제2장 국제행사 개최 및 최근 우리나라 유치 현황 10
제1절 국제행사 개념 및 유치 절차 10
제2절 주요 국제행사 개최 현황 24

제3장 전라북도의 국제행사 유치 여건 및 현황 33
제1절 국제행사 유치 여건 – 하드웨어 인프라 33
제2절 전라북도 국제행사 유치 현황 41

제4장 전라북도 유치가능 국제행사 타깃그룹 선정 48
제1절 타깃그룹 발굴 및 선정 방법 48
제2절 타깃그룹 평가 방법 54

제5장 타깃 대규모국제행사 현황 및 경제적 효과 63
제1절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개요 63
제2절 타깃 국제행사 현황 및 경제적 효과 70

제6장 국제행사 유치추진전략 및 향후 과제 95
제1절 유치추진 전략 95
제2절 향후 과제 98

제7장 요약 및 정책제언 106

참고문헌 111

부 록 114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기대효과 4

제2장 해상풍력산업의 특성 및 동향 9
제1절 해상풍력산업 특성 9
제2절 해상풍력산업 동향 18

제3장 해상풍력산업 육성 정책 38
제1절 국가 해상풍력산업 육성 정책 38
제2절 전라북도 해상풍력산업 현황 48

제4장 해외 해상풍력 선진국 해상풍력산업 육성 사례 60
제1절 해상풍력 지원항만 육성 배경 50
제2절 독일 Bremerhaven 사례 64

제5장 전라북도 해상풍력산업 여건 분석 78
제1절 해상풍력산업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 78
제2절 전북 해상풍력산업 발전 잠재력 83

제6장 해상풍력산업 육성방향 및 정책제언 100
제1절 육성 방향 100
제2절 정책 제언 102

제7장 결 론 1110

참고문헌 116

부록 120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기대효과 4

제2장 한국과 중국의 항만물류 현황 및 정책 9
제1절 한중 항만 물류 현황 9
제2절 한국과 중국의 항만정책 24

제3장 군산항과 연운항항의 항만 인프라 및 항만여건 43
제1절 군산항의 항만 인프라 현황 및 여건 43
제2절 연운항항의 항만 인프라 현황 및 여건 51

제4장 군산 연운항간 교역 현황 및 협력 방안 59
제1절 군산 연운항간 교역 현황 59
제2절 연운항의 대(對)한국 교역 현황 및 교역확대 가능성 66

제5장 군산 연운항간 교역확대 방안 73
제1절 기본 방향 73
제2절 군산 연운항간 교역확대 위한 정책 제안 75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81

참고문헌 84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론 3
1. 연구의 목적 3
2. 연구체계 3

제2장 한중 FTA의 진행 상황 및 중점 이슈 5
제1절 한중 FTA의 진행 현황 5
1. 한국과 중국의 FTA 추진 현황 5
2. 한중 FTA의 추진 과정 6
제2절 한중 FTA의 주요 이슈 8
1. 한중 FTA의 구조와 틀 8
2. 한중 FTA의 주요 쟁점사항(제조업 중심) 9
제3절 한중 FTA의 기대효과 및 추진 방향 12
1. 한중 FTA의 경제적 효과 12
2. 한중 FTA 추진 방향 13

제3장 전북의 대중국 무역구조 분석 14
제1절 전북의 대중국 교역 현황 14
1. 전북의 대중국 교역현황 14
2. 전북의 주요 수출입 특성 17

제4장 한중 FTA의 민감품목 분석 18
제1절 민감품목 선정 방법 18
1. 민감품목 의미 18
2. 민감품목 선정 방법 18
제2절 민감품목 선정 결과 23
1. 민감품목 선정 결과 23
제3절 한중 FTA로 인한 전북 산업의 영향력 분석 26
1. 정량분석 26
2. 정성분석 34

제5장 한중 FTA의 선제적 대응 및 활용방안 50
제1절 한중 FTA의 선제적 대응 50
1.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 50
2. 영향력 최소화 방안 54
제2절 한중 FTA의 선제적 대응 58
1. 기업지원 강화 58
2. 지원시스템 개선 59
3. 지원 인프라 강화 60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61

참고문헌 65
부록 66
부록1. 전국과 전북의 민감품목 분석 66
부록2. 도내 제조업체 대상 한중 FTA 설문결과(경제통상진흥원) 69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Ⅰ. 연구 개요 3
1. 연구배경 및 목적 3
2. 연구내용 및 방법 4
3. 연구범위 5

Ⅱ. 투자유치 여건 분석지표 구성 9
1. 기업의 입지결정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9
2. 투자유치 여건 분석지표의 구성 21

Ⅲ. 전라북도 일반 현황 27
1. 지리적 특성과 행정구역 27
2. 인구 28
3. 지역경제 29
4. 교통 인프라 35

Ⅳ. 전라북도 투자유치 여건 분석 39
1. 분야별 투자유치 여건 39
2. 권역별 투자유치 여건 74

Ⅴ. 연구결과 요약 97
1. 연구개요 97
2. 투자유치 여건 분석지표 구성 98
3. 전라북도 일반현황 101
4. 전북의 투자유치 여건 분석 103

참고문헌 119
[부록 1] 전북 시․군별 산업단지 현황(2012년 9월말 현재) 123
[부록 2] 전라북도 전략산업 육성정책 126
[부록 3] 전라북도 기업 및 투자유치 촉진조례 130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 1 장 서론 3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 목적 4
제 2 절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5
1. 연구방법 5
2. 연구의 주요내용 5

제 2 장 전라북도 서비스업 고용구조 및 고용속성 9
제 1 절 전라북도 서비스업 고용구조 9
1. 서비스업 대분류별 고용구조 9
2. 서비스 업종별 고용구조 14
제 2 절 전라북도 서비스업 고용속성 24
1. 서비스업 전반의 고용속성 24
2. 서비스 업종별 고용속성 29

제 3 장 서비스일자리 정책동향 78
제 1 절 정부 정책방향 78
1. 고용전략 78
2. 주요일자리 창출대책 79
제 2 절 전라북도 서비스일자리 정책 85
1. 전라북도 일자리 정책 85
2. 서비스분야 일자리정책 현황 87
제 3 절 시사점 90

제 4 장 전라북도 전략서비스 선정 95
제 1 절 전라북도 전략서비스 선정 기준 95
1. 전략서비스의 정의 95
2. 전략서비스 선정기준 97
제 2 절 전라북도 전략 서비스 선정을 위한 분석 100
1. 정량적 분석 100
2. 정성적 분석 110
제 3 절 전라북도 전략서비스 선정 결과 118

제 5 장 전라북도 주요 전략서비스분야 일자리 창출방안 123
제 1 절 전라북도 서비스업일자리 창출 정책방향 123
1. 지식기반서비스군 124
2. 문화관광서비스군 128
3. 사회서비스군 134
4. 생활밀착형 서비스 분야 138
제 2 절 전라북도 전략서비스군 지역맞춤형 일자리사업(안) 141
1. 지식기반서비스분야 141
2. 문화관광서비스분야 144
3. 사회서비스분야 147
4. 생활밀착형 서비스분야 149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 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제2장 외국인 직접투자의 이론적 고찰과 중화자본의 해외 직접투자
제1절 외국인 직접투자의 이론적 고찰
제2절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제3장 우리나라의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분석
제1절 국내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제2절 국내 경제자유구역 외국인 직접투자

제4장 새만금ㆍ군산경제자유구역 외국인 직접투자
제1절 새만금ㆍ군산경제자유구역 개요
제2절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 외국인 투자 유치

제5장 정책적 제언 및 결론
제1절 정책적 제언
제2절 결론

참고문헌

부 록
[부록1] 소주공업원 개발 및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절차와 방법
제4절 선행연구 탐색

제2장 전라북도 복지재정 현황과 문제점
제1절 광역자치단체별 복지재정 현황
제2절 전라북도 기초지방자치단체 복지재정 현황

제3장 복지재정의 지방이양 현황 및 실태
제1절 복지분야 지방이양 추진배경 및 경과
제2절 지방이양사업 현황 및 분권교부세의 운용
제3절 전라북도 복지재정의 지방이양 현황 및 실태

제4장 전라북도 지방이양 복지재정 현황 및 문제점
제1절 지방이양사업 재정부담 격차 심화
제2절 지방이양 복지사업 재정배분의 원칙성 부족
제3절 지역간 복지수혜의 불균형과 격차 확대
제4절 지방이양사업 복지수요와 재정의 불균형

제5장 지방이양 복지재정의 효율적 운영 방안
제1절 중앙정부의 복지재정 지방이양정책의 동향과 쟁점
제2절 복지재정 지방이양정책의 개선방안의 쟁점 및 재정추계
제3절 지방이양사업 재정운용방안에 대한 전문가 및 사회복지시설 조사
제4절 지방이양사업 복지재정의 효율적 운용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내용

제2장 학교급식 현황
제1절 친환경 학교급식 필요성
제2절 학교급식 관련 제도의 변화
제3절 국내외 학교급식 현황 및 시사점
제4절 전라북도 학교급식 현황 및 문제점

제3장 학교급식체계에 대한 선행연구
제1절 개 요
제2절 현행 식재료 조달체계의 문제점
제3절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학교급식체계 모형
제4절 소 견

제4장 학교급식지원센터 사례
제1절 광역단위 학교급식지원센터 사례
제2절 시군단위 학교급식지원센터사례
제3절 학교급식지원센터 추진동향

제5장 전라북도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여건분석
제1절 친환경농산물 생산현황
제2절 전라북도 학교급식 소요량 및 생산량 분석 94

제6장 전라북도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쟁점과 중장기 발전방향
제1절 전라북도 친환경학교급식 주요쟁점
제2절 전라북도 학교급식체계(안)
제3절 전라북도 학교급식 추진 로드맵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
목차보기 새창으로보기
목차보기
제1장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절차
제3절 연구방법

제2장 장애인 정책의 변화와 경향
제1절 장애인복지정책의 변화와 흐름
제2절 장애인복지조례 현황 및 경향
제3절 전라북도 장애인복지정책 현황 및 평가

제3장 국내외 국가의 장애인 복지정책 제공 체계 비교
제1절 국외 장애인 복지정책 제공체계 현황 및 운영실태
제2절 국내 장애인 복지정책 제공체계 현황 및 운영실태

제4장 장애인복지 조례의 제․개정 방향을 위한 델파이 조사
제1절 전문가 패널의 선정과 조사도구
제2절 장애인복지정책 전문가 집단별 분석 결과
제3절 장애인복지정책의 유형별 중요도 분석 결과

제5장 전북 장애인복지조례의 제․개정 방향
제1절 장애인복지 조례의 쟁점
제2절 장애인복지 쟁점조례의 내용분석
제3절 장애인복지조례 제․개정의 가치와 방향
제4절 장애인복지관련 쟁점조례 분석과 조례제정의 방향

제6장 결론 및 요약

참고문헌
닫기
PDF DOWNLOAD 다운로드